밀레와 이삭줍기와 만종의 고향
또 시간이 늦었다.
그것도 5분 정도나 될까.
바르비종은 조그만 마을.
이쪽 끝에서 저쪽 끝까지 그냥 걸으면 5 ~6분이면 될까.
관광안내소를 내비로 찍었는데 그것이 실수는데 지금 가면 문을 닫았을 거란다.
밀레가 살았던 집.
그의 아뜰리에다.
하긴 그의 그림 원본이 여기에 없으니
들어가서 볼 것이 무엇인지 모른다.
아마도 엑상 프로방스에서 세잔느의 아뜰리에에서
느꼈던 실망감을 또 맛보았을지도 모른다.
그의 그림은 얼마나 눈에 익었는가?
어릴 때 동네 이발소에서도, 미술책에서도,
친구 집의 액자에서도 두 부부의 합장하고 기도하는 모습은
어린 마음에도 숙연함과 거룩함을 주었고
이삭을 줍는 여인들의 손길은 팍팍했던 우리네들의 삶을
대변하는 것 같은 느낌을 주곤 했던 것을 기억한다.
교과서에도 그의 이야기가 실렸을 정도이니
우리 또래의 대한민국사람치고 밀레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 터...
그의 그림을 볼 아직 남아 있다.
파리에 가면 오르세 미술관에는 반드시 갈 것이니
장 프랑수아 밀레(Jean Fran?ois Millet).
파리에서의 3류 통속화가로서의 삶을 지나가던 사람의 한 마디에
그 길로 청산하고 고향 이곳 바르비종으로 와서 자연주의 화가로서
바르비종파(?cole de Barbizon)라는 한 유파를 이루었던
바르비종 파에 대해서도 네이버 캐스트의 글을 링크해둔다.
이 집에서 화가 장 프랑수아 밀레(1814~1875)가
이렇게 이곳 출신의 화가들의 작품들을 모자이크로 만들어 놓았다.
퐁텐블로와 이곳 바르비종의 숲을 사랑했다는 스티븐슨...